2019년 1월 10일, 다이어트신 앱을 깔고 다이어트라는 것을 해보기로 했다.

원인 분석은 끝났고 (지난 포스팅), 식단 조절도 열심히 하고 운동도 다시 시작했으니 금방 살이 빠질 것이라 기대했으나..!

20일 후 1월 31일 몸무게는 그대로 60키로. 첫 달의 다이어트는 대실패로 돌아갔다. 

 

2019.1 다이어트 상황

아래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네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자신에게 혹독해지자.

앱에 '칼로리 처방'을 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현재 몸무게 60kg, 희망 몸무게는 아마 55kg, 감량 기간은 3개월로 넣었던 것 같다. 

운동은 별로 안 하는 것으로 입력했더니 당장 내가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칼로리는 1211칼로리, 운동으로 소비해야하는 칼로리는 201칼로리가 나왔다. 숫자만 보면 별 거 아닌 것 같고 왠지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1211칼로리는 정~말 적은 것이었다. 그것도 운동으로 칼로리를 200정도 소비해야 온전히 먹을 수 있는 것이고, 운동을 안 하는 날은 거의 1000칼로리만 먹어야 하는 것이다. 뭐 별로 먹지도 않았는데 금방 1000칼로리가 찼고, 칼로리 예산을 지키기가 힘들었다. 

 

위에 실패한 날의 예시인 1월 21일의 식단을 보자. 

- 아침: 훈제계란 2개, 바나나 1개, 믹스커피 1잔 = 총 329 칼로리

- 점심: 단호박샐러드, 삶은 게 1마리 = 총 492 칼로리

- 저녁: 한라봉 1개, 훈제계란 1개, 바나나 1개 = 총 319 칼로리

식단만 보면 '저렇게 먹으면 바로 살 빠지겠는데?'싶지 않은가? 하지만 이렇게 먹어도 운동을 안 해서 이 날은 실패로 끝났다.. 이렇게 1월의 20일 중 절반은 식단조절 '실패'를 했다.

 

2 불규칙적으로 식사해보자.  

이렇게 혹독한(?) 칼로리 처방을 받다보니, 다시 말하지만 지키기가 매우 힘들었다. 그러다 보니 어떤 날은 1000칼로리 이하로 잘 섭취한 것 같다가도, 어떤 날은 약속이 잡히거나 조금만 방심하면 칼로리를 많이(많이도 아니고 1500칼로리 정도지만..) 섭취하게 되었다.

어떤 날은 아침을 챙겨 먹고, 어떤 날은 아침을 거르고 점심을 먹는 등.. 뭔가 지금 식단기록을 돌아보면 패턴이 안 보인다. 칼로리 제한을 1주일 동안은 계속 하던지, 많이 먹을 거면 1주일에 1번만 하던지 했었어야 하는데 몸이 어느 장단에 맞출 지 혼란스러웠던 것 같다.

 

3. 운동은 따로 하니까 평소에 활동량은 신경을 끄자. 

나는 2017년까지 주 2회는 짬을 내어 운동을 했었다. 2018년엔 이직을 하고 정신이 없다는 핑계로 1년간 운동을 쉬었고, 2019년 1월에 다시 필라테스 등록을 했을 때는 이런 마음가짐이었다: '이제 다시 운동하니까 2017년 수준으로 몸무게가 빠지겠지~.'

근데 필라테스 1시간 해봤자 100칼로리도 소모 안 한다는 것을 아는가? 그리고 운동 1시간 중 앞에 10분은 준비운동 및 스트레칭, 뒤에 10분 정도는 또 몸 풀기가 아니던가. 실제로 강도 있게 운동하는 건 30분 남짓.  필라테스 30분을 해도 50칼로리가 빠질까 말까다. 

출처: 티스토리 블로그(https://mmc6u.tistory.com/50)

"나는 따로 운동을 하니까"라는 이유로 평소 활동량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 몇 층 계단을 걸어가도 되는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탔고,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10~15분 거리인데 굳이 한 정거장 거리인 버스를 탔다. 필라테스 외의 평소 활동반경은 최소화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4. 술자리에서 빼지 말자. 

난 술을 한 번 마실 때 많이 마시는 편이다. 건강검진 시 문진표에 내가 마시는 주량을 입력하면 폭음의 위험이 있다고 뜬다.. 술자리 한 번에 맥주 2병 또는 소주 1병이 기본이었고 기분이 좋으면 더 마셨다. 

1월, 신년회가 한창일 때다. 1년 동안 얼굴을 안 보던 친구들도 원래 12-1월에 다 보지 않는가? 모임 자리가 많았고, '술은 액체니까~'라는 생각으로 구태여 빼지 않았다. 누가 먹인 것도 아닌데.. 그냥 맛있어서 몇 잔 했을 뿐이고..

 


그렇게 나는 계란, 바나나, 샐러드를 먹으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아무런 성과 없는 1월을 보냈다. 

여러분도 '나 다이어트 실패야!'라고 외치며 자유를 찾고 싶다면, 위 네가지를 실행해보자. 

지난 포스팅에서 사회 초년생이 1억원을 모으는 방법 단계을 소개하고, 목표를 어떻게 세우는지에 대해 설명했었다. 

 

1. 목표를 세워라. 

2. 목표에 대한 실행계획을 세워라.

3. 목표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 및 조정을 해라.

4. 모든 것의 시작은 결국, 저축이다.

5. 공부, 공부, 공부를 하자.

6. 대출을 잘 활용하자.

 

이번에는 이 6단계 중 2번과 3번에 대해 더 자세히 서술하겠다. 

 

2. 목표에 대한 실행계획을 세워라.

SMART한 목표를 세웠다면, 이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우면 된다.

아래 10년 계획 틀을 참고해서 10년 후 내 자신을 이미지화 시키고, 이렇게 되기 위해서 5년 후는 어떻게 되어있어야 하는지를 개략적으로 계획을 잡고, 현재로부터 3년간은 연간 계획을 세워보자.

이 때 내가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꼭 먼저 정리하고, 현황 파악을 한 후에 실행계획을 세우자. 예를 들면 나의 현재 연봉 및 자산, 재테크에 대한 지식 정도에 따라 세울 수 있는 플랜이 달라질 수 있다. 위 그림에서는 생략되어있지만, 틀의 밑 부분은  ‘지금의 나를 만든 이때까지의 나'를 기입해두면 좋다. 직업, 연봉, 자산 등등의 각 열 밑에 현재 자신의 상황을 적은 후 그 위를 채워나가면 좋다. 



3. 목표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 및 조정을 하라.

목표는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행하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다. 혹자는 '다 아는 얘긴데?'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목표에 대해 흔히 간과하는 한가지가 있다. 바로 조정이다. 

 

삶이 내 뜻대로만 된다면야 너~무 좋겠지만, 어떻게 내 맘대로만 될 수 있을까. (내 맘대로 안 될 때가 더 많지 않은가?)

내가 목표에 대해서 잘 했던 건, 최소 1년에 한 번은 내 상황을 체크하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 같으면 빨리 빨리 plan B를 세워서 실행계획을 조정해나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2015년에 재테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 내가 첫 1년 동안 모으고자 한 돈은 1000만원이었다. 딱 2015년 1월에 저축을 시작하지 않았고 3월쯤 이 계획을 세웠었는데.. 월급이 200만원 초반대였는데 매월 학자금 대출을 63만원 정도 갚았고, 생활비는 진짜 진짜 아껴도 4-50만원 정도 나가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월 100만원 저축하기는 좀 빠듯하고, 9개월 만에 1000만원을 모으기 힘들어보였다.

 

한 5-6월쯤, 빠른 판단을 하고 실행 계획을 조정했다. 직장에 다니면서 얻는 월급으로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니, 쓰리잡을 뛰기로 했다(당시 겸직을 허용해 준 대표님, 감사합니다) 스타트업에 다니면서 주 2회 영어 과외를 하고 주 1회 블로그 알바를 했다. 이렇게 했더니 연말까지 1000만원 보다 더 모을 수 있었다. 

 

 

여러분도 1년에 한 두 번은 본인의 계획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중간점검을 해보고 목표에 맞게 실행 계획을 조금씩 조정해간다면, 연초에 세웠던 재정 목표를 달성한 자신을 발견할거다 :) 여기서 포인트는 목표가 아닌 실행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다! 내 현재 상황에 맞추어 목표를 하향조정하다 보면, 내가 10년 후 꿈꿨던 미래는 20-30년 후에도 안 이루어질 지도 모른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저축에 대해 좀 더 다루도록 하겠다. 

대학생 때 나름 늘씬 몸매를 유지하던 나는, 서른즈음 몸무게 앞자리가 바뀌는 충격을 경험했다 🙃 몸무게 앞자리에 6이 찍힌 걸 보고 충격받은 것이 참 다행이다. 나 자신 칭찬해~*^^* 6을 보고도 '2키로 밖에 찐게 아니네 뭘~'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면 어땠을까? 아찔하다..🤪

하여간 2019년 서른 하나가 되어서야 정신을 차리고, 드디어 다이어트를 해보기로 한 것이다! 광고에서 본건지 주변에 누가 쓰고있었는지 기억은 안 나지만, 일단 1월 10일에 다이어트신을 깔았다.

 

앱을 깔면서 생각했다. 나란 인간, 어쩌다 리즈 몸무게에서 7키로나 찐 것인가! 내 기억으론 스물 넷까지 53키로였으니, 1년에 야금야금 1키로씩 쪄서 7년 후 60키로가 된 것이다.
물을 서서히 끓이면 개구리가 뜨거움을 모르고 죽어간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았는가? 조금씩 서서히 변하는 것에서 위험을 감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취업 후 이십대의 나는 '작년 대비 1키로쯤은 뭘~'이라는 생각으로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억울하다! 난 운동도 주2회 하고, 먹는 것도 폭식하는 것도 아닌데, 왜 살이 야금야금 찐거야?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1. 기초대사량은 떨어지는데 먹는 양은 그렇게 줄지 않았다.

출처: 중앙일보

미쿡에서 몇년 살다 온 나는 한국에서 푸드파이터가 되어있었다. 이십대 초반, 회전초밥집에 가면 거진 열그릇은 비웠었고, 고기도 왠만한 남자에 뒤지지 않는 양으로 먹었다.
나이가 한 살 먹을 수록 양이 줄긴 했지만, 내 생각엔 기초대사량의 감소에 비례해서 양이 준 건 아니었다.

2. 활동량이 줄었다.

책상 붙박이 나야나

신입사원 때부터 스물아홉까진 헬스, 수영, 요가 등 뭐가 됐던 최소 주 2회는 운동을 하러 갔다. 난 그래서 내 활동량이 줄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대학교 때는 강의실도 옮겨다니고 수업 끝나고 서울 전역을 누비며 놀러다녔었는데, 회사생활을 하며 외부 미팅이 없는 날은 책상 앞에 몇시간이고 붙어있는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 때는 무조건 대중교통을 이용했었는데, 회사를 다니며 외근 나갈 때 택시를 주로 탔다. .. 이 모든 자잘한 활동량의 차이가 모여서 몸무게 변화에 일조한 것이다.

3. 이십대 애환을 달래준 삼쏘나이트.

마음의 양식, 고기

삼쏘나이트는 캐리어 가방 브랜드 아니냐고? 노. 삼겹살-소주 조합의 저녁이다. 이 조합을 너무 좋아해서, 사람들이 줄여서 '치맥'으로 부르는 것처럼 내맘대로 '삼쏘'라는 말을 썼다. (근데 네이버에 쳐보니 많이들 쓰네..사람 생각하는건 다 같나봐..)

대학생 때도 술을 적게 마신건 아니었지만, 뭔가 회사생활을 시작하고 술을 더 자주 마셨던 것 같다. 첫 직장에선 퇴근 후 맥주 한 캔을 꼭 사서 집에서 혼맥을 즐겼고, 두 세번째 직장에서는 고단한 일이 많아서 전우애가 쌓인 동료들과 주 2~3회는 삼쏘나이트를 즐겼었다. 고단한 마음을 소주와 고기기름이 따뜻하게 해주던 시절이었다.. ㅎ
술은 다이어트의 적! (술을 마시면 몸이 지방 연소를 멈추고 알코올 분해를 한다) 하지만 다이어트 무지랭이는 그것을 알지 못했으니.. 😂

자 이제 분석은 끝났다. 고로 실천만 하면 되는것이다..!
1. 식이조절로 먹는 양을 줄이고
2. 활동량을 늘리고
3. 술자리를 줄이는 것!

과연 필자는 이 세 가지를 잘 지킬 수 있을 것인가..

+ Recent posts